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 . 지의류

영국병정지의 . 꼬마요정컵지의

by 현금인 http://blog.daum.net/cosmos 2009. 2. 27.

 

 

 

 

 

 

 

-펌자료-

지의류란?

균류와 조류(藻類)의 공생식물로, 균류(자낭균류 또는 담자균류)의 한 종류와 조류(남조류 또는 녹조류)의 한 종류가 복합체가 되어 공존한다.

1. 지의류의 형태

외부형태로 지의류를 구분하면 엽상(葉狀)·수상(樹狀)·딱지모양의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엽상은 석이 등과 같이 전체가 편평하고 양면의 구별이 뚜렷한 것을 가리키며, 수상은 식물체가 직립하여 수지상(樹枝狀)으로 갈라지는 것을 말한다.내부형태를 보면 표면에는 피층이 있어서 몸을 보호하게 되어 있다.

2. 분류

전세계에 알려져 있는 지의류는 2만 종이 넘지만 대부분은 자낭균류를 구성분자로 하는 자낭지의류이며, 담자균류를 구성분자로 하는 담자지의류는 거의 20종밖에 안 된다.

3. 이용

식용 및 동물의 사료, 염료, 약용, 장식용 등에 이용된다. 화학실험에 쓰이는 리트머스는 리트머스이끼에서 추출한 색소를 이용한 것이며, 항생물질로서 약품의 원료인 우슨산(usnic acid)은 지의류에 함유되어 있다

4. 남극에서의 서식

지의류는 약 350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남극에서 서식하는 식물들 중에서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이 남극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은 낮은 온도와 건조에 잘 견딜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들과 경쟁 대상이 되는 이끼나 관속 식물들이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주된 원인이다.

(한국지의류연구센터:http://lichen.sunchon.ac.kr/intro/lichenis.htm)

 

*지의류
뿌리는 곰팡이(균류)이고 몸은 조류(藻類:다시마 같이 물속에 사는 식물)가 합쳐진 공생식물이다.
균류는 물을 흡수해서 보존하고  조류는 광합성을 해서 자신과 균류가 살아갈 영양분을 만들어,공생관계
지의류는 바위나 무덤가의 석물 등에 자리를 잡고 살며, 돌을 조금씩, 조금씩 가루로 만들어 돌을 흙으로 변화시킨다.
지의류의 이런 작용 때문에 국보급의 오랜 된 석물에 핀 지의류는 인위적으로 제거하기도 한다.

 

 

 

 

          지의류

         09 . 02.  27  금

 

 

'양치식물 . 지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짜게덩굴  (0) 2009.11.11
우산이끼  (0) 2009.08.18
일엽초  (0) 2009.03.27
꼬마요정컵지의  (0) 2009.03.12
애기일엽초  (0) 2009.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