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송이처럼 보이는 꽃송이가 작은 꽃송이가 많이 모여서 큰 한송이 처럼 보이는데.그렇게 꽃을 피우는 이유는 뭘까?
곤충들이 멀리서 봐도 쉽게 찾을수 있게 하기위해서이다.
큰 한송이꽃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에서 부터 작은 꽃송이가 순서대로 피는데 그것은 또 왜 그렇게 피울까요?
오래동안 꽃을 피워 곤충들을 불러 모으기 위해서이다.
꽃잎을 누를 힘과 지혜가 있는 곤충만이 토끼풀 꽃잎을 누르면서 꿀이 있는 입구 까지 닿아서 토끼풀 꿀을 먹을수 있다.
네잎크로바 가 생기는 이유는 뭘까요? 생장점이 상처를 입으면 생긴다.
그래서 네잎크로바를 찾으려면 어디를 가야할까요?
길가나 운동장 사람들이 많이 다녀서 밟히는곳이라야 쉽게 찾을수 있다.
아일랜드 국화 . 세잎크로바가 성부 성자 성인의 삼위일체라고 상징하여 사탄을 막아준다고 생각.
또 나폴레옹이 전쟁에서 싸울때 네잎크로바잎을 따려고 허리를 굽히는 순간 적의 총알이 머리위를 스쳐 날아갔다 하여 행운의 상징으로 전해지고 있다.
잘 말린잎은 바닐라향을 낼수 있는 향미식물로 사용
좋은 퇴비로 인정받고 .
곤충들의 좋은 먹이가 되어 나비와 나방 유충들이 좋아라하고 꽃에는 향기가 있어 벌을 불러 모은다.
붉은 토끼풀은 밟아서 다져진 땅이나 진흙이 섞인 통수성 통기성이 불량한 땅에서는 못산다.
아카시나무 처럼 지표면 가까이 기어 다니면서 영양 번식을한다. 한조각의 뿌리라도 남아 있으면 다시 복제 하는 조직 배양 능력이 탁월하다.
남의 영역을 잠식해가는 대표적인 게릴라 전략을 쓰는 종이다.
(잔디와 함께 자라면 인간의 간섭이 없으면 잔디는 결국 다 없으지게 되고 토끼풀만 번식하게된다 )
포기채로 송두리째 뽑아 없애버리지 않는 이상 영원히 살아가는 모듈 생명체 의 특성
토끼풀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를 박테리아에게 탄수화물을 공급해주면서 자신이 번성하는데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필수 영양소인 질소를 공급 받는다.
모든 콩과 식물이 그렇듯 질소 비료를 공급해주는 머슴을 데리고 있는 셈이다 라고 표현하는 학자도 있다.
귀화식물이며 사료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1921년 조선식물명휘 에 최초로 기록
일본명 = 백힐초 (토끼풀꽃이 흰색) 1840년대 초 네들란드로 부터 유리그릇을 수입할때 파손을 막기위해
(충격 완충 포장재) 토끼풀꽃을 건조시켜서 이용
토끼풀 - 민달팽이 소 토끼 염소 ... 갉아 먹는것과 뜯어먹는 동물들이 있다.
갉아 먹힐때 생기는 상처에서 청산가리 성분인 시안(CYAN) 이라는 물질을 방출 주로 잎표면에 V 자형 문양을 가진 개체들이다.
미량의 시안 물질이라도 민달팽이와 메뚜기들에는 정신 착란을 일으킨다.
V자형 문양이 토끼풀 집단이 야생에서 번성하고 흔하게 관찰되는 이유는 바로 잎을 갉아 먹는 무리들이 회피하기 때문이다.
V자형 무늬가 있건 없건 둘다 아직까지는 유전자적으로 동일한 종으로 취급한다. 이것은 진화의 진행형으로 설명되는 생태형이다.
되새김질하는 대형 초식동물은 토끼풀 종류의 시안물질로 인해 목숨이나 건강에는 큰 피해를 입지 않는다. 많이 뜯어먹으면 구토를 일으킬뿐이다.
그래서 소들은 한곳에서 오랫동안 머물며 풀을 뜯지 않는다.
상처 난 풀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이 산화되어 분해되는 시간을 벌기 위해서 이리 저리 풀을 띁는 방향을 조금씩 바꿔 간다.
토끼풀과 소의 관계는 적절한 긴장감 속에서 공존함으로써 생존에 지속가능성을 보장 받는 공진화인 셈이다.
제주도 한라산 고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3~5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잎이 어긋난다.
꽃모양이 토끼풀과 많이 닮았다.
▷토끼가 좋아하는 씀바귀
토끼가 먹는 풀은 토끼풀뿐인 줄 알았지만 오히려 씀바귀를 토끼가 더 좋아한다고 한다.
특히, 토끼가 새끼를 가졌거나 병에 걸렸을 때 본능적으로 씀바귀를 더 많이 찾는다고 한다.
선씀바귀
'자연에서 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 짝짓기 행동 (0) | 2010.02.10 |
---|---|
수생동식물 ㅡ부북면 연밭에서... (0) | 2009.09.09 |
개미 이야기 (0) | 2009.03.02 |
변산바람꽃 (0) | 2009.02.18 |
인동/우단동자/송엽국/조뱅이/당아욱/수영/비비추/전호 (0) | 2007.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