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나 계곡에 는 북방계에 서식하여 북방산개구리 고 붙여졌다. 몸통는 갈색이고 눈뒤에 검은색 무늬가 있고 다리에 진한색의 줄무늬가 있다.
먹을수 있는 식용개구리로 알려져 있어 보양식으로 많이 남획되어 왔다.
" 야생동식물보호법 " 포획금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포접하고 여기 저기 돌아 다닌다.수컷이 암컷을 배를 꽉 움켜쥐어 알을 낳게 하는 행위 대부분 개구리는 체외수정이다. 경침이 오기전부터 짝을 찾아 나선다.
↑ 눈뒤쪽으로 검정색 무늬가 길게 나있는것이 특징이다.
금정산 중턱 늪지에서
북방산개구리 - 배면이 우유빛으로 흰색이다.
계곡산개구리 - 배면이 연한노란색 (미색). 회색이다.
개구리를 만지고 나면 손을 씻어야 하는 이유= 개구리는 살갗으로도 숨을 쉬기 때문에
항상 살갗을 보호하고 촉촉하게 하는 점액질을 내뿜는다
어떤 개구리는 천적들에게서 자신을 지키느라 살갗을 통해 독이 있는 물질을 내보내기도 한다.
덧붙이자면 개구리가 사람의 체온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개구리는 배꼽이 없다 알에서 태어나는 동물들은 다 배꼽이 없다.
기압골이 접근하면 기압이 낮아진다. 그러면 습기가 증가되어 호흡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에 개구리는 울음을 평소보다 많이 해서 호흡량을 늘이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는 해석이다. 많은 경우에 적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개구리가 울면 비가 올 징조이다. 이 속담에 대한 과학적인 타당성이 입증된 바는 없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청개구리의 울음 소리를 들은 지 약 30시 간 이내에 비가 내릴 확률은 대략 60~70%로 알려져 있다.
날씨 좋은 날에도 개구리는 운다. 그리고 밤에는 세상이 떠나가라 울어댄다.
개구리는 왜 울까? 원래 개구리는 올챙이 시절에는 물고기처럼 아가미로 호흡을 한다.
이것이 개구리가 되어 땅으로 오르게 되면 폐로 호흡을 하게 된다. 이 개구리의 폐 구조와 성능이 썩 좋은 편이 아니다.
다른 뭍짐승처럼 폐를 부풀려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목을 부풀리기도 하고 움츠리기도 해서 공기를 폐로 보낸다.
개구리의 목이 쉬지 않고 움직이는 이유는 불완전한 호흡 때문이다.
그런데 개구리는 이 폐호흡만으로 충분한 공기를 들이마실 수가 없어 피부로 숨을 쉬어 보충한다.
물론 사람도 피부호흡을 하지만 개구리처럼 피부호흡에 많이 의지하지는 않는다.
개구리 피부가 항상 젖어 있는데 젖어 있어야 공기 중의 산소를 받아들이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낮보다는 밤이, 맑은 날보다는 비오는 날이 개구리로서는 기분이 좋을 수밖에 없다.
숨쉬기를 편하게 할 수 있으니까. 따라서 개구리가 밤과 비오는 날에 울어대는 것은
엄마의 무덤 때문에 슬퍼서가 아니라 사실은 너무너무 기분이 좋아서 '아들 손자 며느리 다 모여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개구리 피부는 호흡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몸 속으로 수분을 출입시키는 작용도 한다.
사람 피부의 땀구멍도 비슷하긴 하지만 사람의 땀구멍이 주로 배출을 한다면
개구리는 물을 마시지 않아도 될 정도로 피부로 물을 마신다.
그러므로 개구리의 피부가 건조하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그러니 비가 오는 날이 좋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춤파리: 암컷에게 풍부한 먹이를 준다.
2. 갈매기: 인사를 수없이 한다
3. 개구리: 크게운다
4. 금관조: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면서 깃털을 높이 들고 암컷을 유인 한다.
5.악어:악어의 숫놈은 물속에서 자신의 큰턱을 이용해 물에 진동을 이르켜 힘을 과시하거나 턱을 부디치며 딱딱 소리를 냅니다 (힘과시)
6.검정군함새:숫놈은 자신의 턱주머니에 공기를 잔뜩넣고선 최대한 많이 부풀립니다.그럼 암컷은 그크기와 색갈로 짝을 고르죠
7.원앙:원앙의 수컷은 정말 아릅답죠?원앙은 자신의 날개와 가슴을 한것 자랑을 하며 암컷을 유혹합니다.
8.새:대부분 모든새들은 자신의 날개를 활짝펴고 힘과 우람함을 자랑을 합니다.
(1) 여러 가지 동물의 구애 행동
① 구애 행동은 동물의 암컷과 수컷이 짝짓기를 하기 위해여 하는 행동이다.
② 동물들은 자기와 같은 종족을 알아보아야 한다. 그래서 동물 특유의 구애 행동을 하여 암컷이나 수컷을 유인한다.
③ 구애 행동을 하여 짝짓기를 할 수도 있지만, 짝짓기와 상관 없이 구애 행동을 하기도 한다.
④ 동물의 구애 행동 : 색깔, 동작, 소리, 냄새 등으로 유인한다.
(2)여러 동물의 짝짓기 행동
① 큰가시고기는 집을 지어 놓고 암컷을 유인해, 암컷이 알을 낳으면 정액을 뿌립니다.
② 백로는 부리를 쳐서 소리를 내어 암컷을 위해 음악을 들려줍니다.
③ 금관조의 수컷은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면서 깃털을 높이 들어 암컷의 환심을 삽니다.
④ 청개구리의 암컷은 가장 큰 소리로 가장 자주 노래하는 수컷에게 관심을 가지므로 크게
울어 암컷을 불러들입니다.
(3) 혼인색 : 짝짓기를 하기 전에 수컷의 몸 색깔이 변하는 것
① 열대어 : 수컷은 밝은 오렌지 색을 띤다.
② 큰가시고기 : 눈이 파랗게 되고, 등 쪽은 푸른색, 배 쪽은 밝은 붉은색이 된다.
③ 피라미 : 수컷은 머리 쪽이 붉은 갈색으로, 가슴 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뒷지느러미는 주황색을 띈다.
http://blog.daum.net/cosmos91/17436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