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례(詩禮)라는 말의 어원은 영남알프스의 주봉(主峰)인 가지산(迦智山)의 다른 이름인 실혜산(實惠山)에서 나온 것으로 실혜(實惠)가 시례(詩禮)로 바뀌었으며,
실혜산의 아랫마을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호박소는 영남 알프스로 일컫는 1,189m의 재악산 자락과 1,240m의 가지산이 마치 병풍처럼 둘러 있는 가운데, 해발 885m의 백운산 자락 계곡에 있습니다.
이 곳 호박소 계곡은 화강암으로 융단을 깔아 놓은 듯하며, 그 위를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한여름 더위를 식히기에 안성맞춤입니다.
백옥같은 화강암이 수십만년 동안 물에 씻겨 커다른 소(沼)를 이루었는데, 그 모양이 마치 절구(臼)의 호박 같이 생겼다 하여 호박소 또는 구연(臼淵)이라고 합니다.
명주실 한타래가 들어갔을 만큼 깊었다고 하는 설화 같은 얘기도 전해지며,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호박소는 오랜 가뭄이 계속될때 기우제를 지내는 기우소(祈雨所)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단장면 골짜기에 시례 호소박라는 沼가 있는데, 그 소에 용이 한 마리 들었다는 유래가 있다. 옛날 그 골짜기에 이미기(이무기)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가 어떤 선생 밑에서 수학했는데 어찌나 영특한지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알 정도였다. 하루는 제자가 저녁에 "오줌누러 잠시 나갔다 오겠습니다."
하자 스승은 허락하고 먼저 잠자리에 들었다. 그러나 도중에 깨어 일어나 보니 아직도 제자는 돌아와 있지 않았다.
이런 일이 그 이튿날도 마찬가지여서 선생은 참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뒤를 밟아보기로 하였다, 사흘째 되는 밤 한시경에 이르자,
선생이 수잠을 자고 있는 사이에 제자는 슬그머니 일어나 밖으로 나가는 것이었다. 뒤를 밟아보니 한 마을에 있는 소로 가더니 곧 물에 들어가 노는 것이었다.
선생이 유심히 살피니 분명 그 제자는 사람이 아니고 이무기였다. 그가 한참 물 속에서 놀다가 나와서 다시 둔갑을 하여 사람으로 되돌아오자,
선생을 급히 돌아와 자는 척하였다. 얼마 후에 제자가 돌아와서 슬그머니 옆에 누워 자는데, 선생이 몸을 만져보니 몸이 매우 싸늘하였다.
그때 마침 마을에 비가 오지 않아 무척 가물었는데 선생은 옛말에 "사람이 용이 되면 가문다."는 말이 있듯이 아마도 그 제자 때문에 비가 오지 않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였다. 마을 주민들이 선생에게 찾아와 비가 오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느냐고 간청하자 선생은 제자를 불러서
"애야, 백성들이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데 네가 비 좀 내리게 할 수 없느냐?" 라고 했지만 "선생님, 무슨 말씀이십니까. 제가 무슨 재주가 있습니까?"
하면서 제자는 시치미를 떼고 거절하였다. 그러다 선생은, "네가 무슨 재주가 있는지 밝히지 않아도 되니 비만 내리게 해다오."
이렇게 계속 제자를 재촉하였다. 거듭되는 선생의 간청에 못 이겨 마침내 승낙하고 붓글씨를 쓰다가 먹을 손가락에 찍어 하늘에 튕기자 먹비가 막 쏟아지는 것이었다.
그런데 사실을 이 제자는 옥황상제가 오년간 수양하라는 명을 내린 이무기였다. 그 이무기가 명을 어기고 비를 내리게 하자 옥황상제는 저승사자를 내려보냈다.
하늘에서 뇌성병력이 치며 선생 앞에 저승사자가 나타나 "여기 이무기라는 사람이 있느냐?"
묻자 이무기는 선생 뒤에 숨어 벌벌 떨고 있었다. 선생은 순간적으로 기지를 발휘하여 "뒷산에 이무기라는 나무가 있습니다."
라고 대답하니 갑자기 그 나무에 벼락이 내리치고는 날씨가 다시 맑아지는 것이었다.
그 후 아무도 이 사람을 보지 못했는데, 아마 등천을 못해서 그 길로 시례 호박소로 들어간 것이라고도 한다.
간혹 선생이 그 소로 찾아가면 이무기가 눈물을 흘리더란 이야기가 전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천황사 가마볼협곡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사찰에도 가을색이 입혀져 있다.
↓가마볼이란 우뚝 솟은 거대한 절벽이 태고적부터 흘러내린 계곡 물에 의해 두터운 암반이 깍여 나가 계곡이 마치 가마솥을 걸어 놓은 아궁이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이다. 비가 많이 내려서 수량이 풍부 할때면 암ㆍ수 가마볼에서 수십 미터를 미끄러지듯 쏟아지는 시원한 폭포수는 병풍처럼 둘러선 기암절벽과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기도 한다. 지금은 오랜 가을 가뭄탓인듯 협곡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습을 볼수 없었다.
↑가마볼협곡
'그곳에 가고싶다.(여행지) > 경남 밀양 ( 密 陽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연터널 (0) | 2013.11.18 |
---|---|
무안중 (0) | 2013.11.16 |
상동 터널 (0) | 2013.11.03 |
향교 (0) | 2013.10.16 |
삼은정 (三 隱 停 )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