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6 표범나비 2015. 12. 26. 2015년 밀양강 모니터링 12.09 모습 훼미리앞 풀숲 2015. 12. 26. 쇠딱따구리 2015. 12. 25. 호박소 탐사. 재악산 케이블카 - 우박사님 탐사 큰생물은 사이클이 길기때문에 분류를 할수 있지만 작은 생물일수록 분류하기가 어렵다. 살아 있는 생물은 다양성을 추구한다. 2015. 12. 22. 유리주머니나방 15.8.26.- 애벌레 상태 19.1.24.삼랑진 냉천늪 (미전천) - 알상태 ▼15.12.21 겨울 ㅡ 질긴 껍질집 안에는 번데기 모양의 얇은 막으로 된 알집에 알이 20~30개 정도는 되어 보인다. ↓유리주머니나방 -18.02.08 봉암수원지 - 애벌레상태로 겨울 모습 18.02.01ㅡ 밀양대공원 유리주머니나방 알모양 겨울 모습 주머니나방 ㅡ 17.07.27 밀양대공원 ↑차주머니나방 - 밀양대공원 - 18.02.01 애벌레로 겨울 나는 모습 ↓주머니나방 - 봉암수원지 18.02.08 2015. 12. 21. 등검은쌍살벌과 털보말벌 ? ↑15.08.26 삼락공원 갈대숲에서 ↓ 15.12.12 반룡공원 털보말벌로 추정해본다. 쓰러진 나무속에서 겨울잠 자는 말벌류 - 털보말벌의 여왕벌로 동정해본다. 좀더 자세한 관찰이 필요함 2015. 12. 21. 거미류 거미는 현재 (2010년) 전 세계적으로 4만여 종이 기록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도 6백여 종이 확인 되었다. 거미는 곤충과 더불어 지구상에서 가장 번성한 동물이다. 닷거미과(PISAURIDAE) - 배회성거미 지면이나 식생 혹은 호수나 연못 수면위를 활발히 움직인다. 연못위를 다니는 거미를 낚시거.. 2015. 12. 15. 곤충강의 15.12.12 (4강) 하늘소유충 사슴벌레유충 밤나방애벌레 맴돌이거저리 노래기 얼룩대장노린재 떼허리노린재 흰개미 암끝검은표범나비수컷 닷거미 나무에사는 하늘소 - 털두꺼비하늘소 ㅡ 14~25mm 드꺼비 등판과 닮았다. 깨다시하늘소 ㅡ 10~17mm 나무 빛깔과 닮았다. 장수 하늘소 - 60~100 mm 천연기념물 218호 .. 2015. 12. 13. 닭의장풀. 2015. 12. 11. 무당벌레 종류 ↓칠성무당벌레 알낳는 모습 ↓무당벌레 탈피각 . 애벌레 다양한 모습 ↓무당벌레 애벌레 탈피중. 번데기?라고 해야 할까? 과변태 = 알 유충 의용 용(번데기) 성충(유층과 번데기 사이에 의용의 시기가 있다. ↓무당벌레와 진딧물 무당벌레 탈피각 12.09 용활동 금시당 아리랑길 고속도로 아래 나무 데크에서... 12.25일 그전보다 많은 숫자가 겨울잠에 들어간듯 하다. 2015. 12. 10. 벌집 땅굴속에서 발견한 벌집 바깥쪽 둥근모양으로 지은 집은 만지니까 쓰르르 흘러 내릴정도로 허물거린다. 2015. 12. 10. 석골사 2015. 12. 8. 정승골 ㅡ 감나무 11/26 11/10 2015. 11. 28. 금시당 ㅡ은행나무 11/16 11/20 11/22 2015. 11. 28. 단장천풍경 2015. 11. 20. 좀사마귀 앞다리와 앞가슴 아랫부분에 검은색 띠무늬가 있다. 알집은 다른 사마귀 알집에 비교해보면 길쭉하고 날씬한편이다. 2015. 11. 18. 둥근잎나팔꽃 2015. 11. 10. 꽃등에류 2015. 11. 10. 위양지 - 2015 가을 10/31 11/3 11/6 2015. 11. 9. photo 정기출사 순창 강천사 - 담양 메타쉐콰이어 - 순천 낙안읍성 순천 낙안읍성 2015. 11. 2. 넓적배사마귀 / 왕사마귀 - 관찰기 알을 낳을때는 꼼짝 않고 사진을 찍고 있는데도 아랑곳 않는다. 15.10.29. 야생에서는 알을 보통 3~4개 까지도 낳는데...실내라 환경이 맞지 않는듯 한개만 낳고 죽음 ㅠ 15.11.2. 16.3.30.14.45분 낮시간에 부화한 약충은 눈이 까만색으로 반짝인다. 밤이 되어야 깜만색으로 변한다는 자료와는 다.. 2015. 10. 29. 극동왕침노린재 2015. 10. 27. 두줄제비나비붙이 애벌레 흰 왁스 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다. 탈피한 직후에는 누런색을 띠나 곧 다시 흰 왁스를 덮어 쓴다. 흙속에 들어가 번데기가 된다. 흰 왁스는 먹이식물에도 묻어서 이들이 발생한 식물은 아주 지저분하게 보인다. 성충은 제비나비류를 닮았다. 1년에 1회 발생하며 느릅나무과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5. 10. 27. 물땡땡이 2015. 10. 9. 으름밤나방 -나비목 밤나방과 짧은시간에 으름덩굴 잎사귀를 많이도 먹었다. 15.09.09 번데기를 만든모습을 볼수 있었다. 잎사귀 1장은 가지에 붙여져 있고 한장은 마른잎사귀로 싸여 두장을 허술하게 붙여 놓은 모습이다. 비가 오면 비가 들어갈수 있어 보인다. 번데기 상태로 위험을 느끼면 심하게 흔들어 댄다. 가지.. 2015. 9. 25. 중국굴피나무 2015. 9. 25. 왕귀뚜라미 암 수 한쌍과 약충은 1마리만 보인다. 세식구가 굴속(굴 모양은 양쪽으로 뚫려 있게 만들어져 있다.)에서 나와 바깥 나들이를 나서는 모습이 재미나 한참을 함께 놀다 왔다. ^^ 2015. 9. 25. 파초 파초는 중국이 원산지 우리나라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반면 바나나는 아열대가 원산지라 보온이 필요하다. 파초의 번식은 뿌리를 쪼개어 심어면 번식이 잘되는 편이다 바나나의 경우 영상 4∼5도에서 어느 피해가 발생하지만, 파초는 추위에 비교적 강해서 영하 10∼12도까지도 견딘다. .. 2015. 9. 25. 참나무류 충영 2015. 9. 24. 산바퀴 - 죽은나무와 잎을 분해시키는 숲속의 분해자이다. 약충 = 몸은검은색이고 가장자리에는 황색 테두리가 있다. 2015. 9. 2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