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6 예덕나무(대극과) 잎은 넓은 달걀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잎몸이 3개로 약간 갈라진다. 봄에 새로 돋는 잎은 붉은색에서 점차 녹색으로 변한다. 암수딴그루로 가지끝의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모여핀다. 삭과열매는 둥근 세모꼴이며 황갈색 선점과 털이 촘촘히 나있고 갈색으로 .. 2010. 8. 6. 말오줌나무(인동과) & 말오줌때나무(고추나무과) 말오줌나무 (인동과) - 울릉도에서 많이 볼수 있었다. 성인봉 아래 나래분지 가까운곳에 군락으로 여기저기 보인다. 말오줌때나무 (고추나무)- 제주도에서 많이 볼수 있었다. 비자림 입구에 식재를 한 모습도 보였다. 깃꼴겹잎이 마주난다.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 꽃이 모여 핀다. 가.. 2010. 8. 6. 참가시나무.(참나무과) 잎가장자리 결각끝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2010. 8. 6. 종가시나무(참나무과) 난대림의 대표적인 수종 ,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도서지역에 분포. 잎가장자리 결각이 중간쯤에서 끝부분까지 1/2정도 나타난다. . 2010. 8. 6. 센달나무(녹나무과) 잎가장자리가 물결모양으로 구불구불하다. . 2010. 8. 6. 생달나무(녹나무과) . 잎앞면에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에서 3mm 쯤 올라가서 잎맥이 3개로 갈라진다. 꽃자루가 길며 흰색꽃은 점차 황백색으로 변한다. 타원형의 열매는 검은자주색으로 익는다. 상록교목 생잎은 향료채취용 줄기껍질은( 桂皮)라하여 약용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사데기" 라고 부른.. 2010. 8. 6. 새비나무(마편초과) . 잎 앞면에도 털이 있고 , 잎뒷면과 취산꽃차례에도 별모양의 털이 많다. 연자주색 꽃이 모여피며 둥근 열매는 자주색으로 익는다. 2010. 8. 6. 상산나무(운향과) . 잎앞면은 광택이 있음. .독특한 냄새가 난다. 2010. 8. 6. 애기범부채 . 2010. 8. 6. 암대극(대극과) . 2010. 8. 6. .등심붓꽃 . 2010. 8. 6. 새우난초 . 2010. 8. 6. 구름떡쑥(국화과) 한라산의 건조한 풀밭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 8~9에 줄기끝에 여러개의 황백색 꽃송이가 모여 달리고 총포는 종 모양이고 외총포는 끝이 뾰족하다. 2010. 7. 29. 한라돌창포(백합과) 한라산 높은 지대의 습기가 있는 바위틈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에 모여나는 선형잎은 서로 마주 안으며 8~9개의 잎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숙은꽃창포에 비해 조금 작으나 꽃은 더크고 줄기잎은 더욱 작다. 2010. 7. 29. 제주달구지풀(콩과) 제주도 한라산 고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3~5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잎이 어긋난다. 꽃모양이 토끼풀과 많이 닮았다. 2010. 7. 29. 호자덩굴(꼭두서니과) 울릉도 및 남쪽 섬의 숲속에서 자라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 털이 없고 옆으로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 마주나는 잎은 달걀형 6~7월에 가지끝에 흰색꽃이 2개씩 피는데 꽃부리는 통같으며 끝이 4개로 가랄지고 안쪽에 털이 있다. 가을에 붉은 장과열매가 익는다. 2010. 7. 29. 고추나물 2010. 7. 29. 나도생강(달개비과) 남쪽섬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풀 8~9월에 줄기 윗부분에 5~6층으로 돌려나는 가지에 흰색꽃이 다린다. 남자색 열개는 둥글게 익는다. 2010. 7. 29. 금방망이(국화과) 한라산과 서해의 섬 북부지방의 산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수과열매는 원뿔모양으로 양끝이 좁다. 2010. 7. 29. 나래박쥐나물국화과) 오각상 신장형 엽병에 날개가 있고 기부가 귀처럼 넓다(감쌈) 꽃은 자주색 2010. 7. 29. 게박쥐나물(국화과) 줄기에 홈이 있는 능선이 있다. 신장형 잎은 7~9개로 얕게 갈라지고 밑은 심장저이다. 잎 모양이 게 모양으로 생김. 날개 없음 / 2010. 7. 29. 손바닥난초(난초과) 뿌리가 손바닥모양으로 생겨서 붙혀진 이라는데.. 뿌리를 캐볼수는 없는일... 난감 ㅎ 2010. 7. 29. 백리향 산꼭대기나 바닷가 바위틈에서 자라고 향기가 좋다. 열매는 짙은갈색으로 둥글게 익는다. 2010. 7. 29. 꿩의다리 / 2010. 7. 29. 분취 2010. 7. 29. 애기나비나물(콩과) in~! = 제주도 윗세오름을 오르면서 분명 나비나물 모습인데..흔히 보이는 나비나물보다 너무 작은 모습에 애기나비나물인가? 혼자 중얼거렸던.. 기억이.. 나비나물보다 잎크기는 반정도 탁엽도 반정도 꽃은 3/2정도? 꽃은 많이 작아보이진 않았다. 2010. 7. 29. 애기솔나물(꼭두서니과) 2010. 7. 29. 탐라산수국 탐라산수국은 꽃잎처럼 생긴 헛꽃에 수술 , 암술이 있다, 중양에 양성화가 모두 핀 다음에 헛꽃잎에 양성화가 달린다. 이건 탐라산수국일까 ? . 산수국일까? 중앙에 양성화가 수정을 하고 나면 헛꽃은 뒤로 제껴진다. 2010. 7. 29. 탐라산수국 . 산수국 탐라산수국 = 꽃잎처럼 생긴 헛꽃에 수술 , 암술이 있다, 중양에 양성화가 모두 핀 다음에 헛꽃잎에 양성화가 달린다. 이건 탐라산수국일까 ? . 산수국일까? 중앙에 양성화가 수정을 하고 나면 헛꽃은 뒤로 제껴진다. 산수국은 = 작은가지에 잔털이 있다. 꽃산수국= 헛꽃에 톱니처럼 있다. 산수국의 꽃말.. 2010. 7. 29. 황근(아욱과) 제주도 바닷가에서 자라며 멸종위기2급식물이다. 번식은 종자로 하는데 발아율이 좋다. 가을에 달걀형열매에는 잔텰로 덮여있고 꽃받침이 달려있다. 익으면 5개로 갈라지는데 씨는 콩팥 모양으로 길이가 4~5mm정도. "노란무궁화 " 하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종자가 염분에 강해서 바닷.. 2010. 7. 29.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