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노린재목42 알락무늬장님노린재 . 2014. 5. 11. 북쪽비단노린재 주로 말냉이 근처에서 볼수 있었다. 아주 미세한 외부 자극에도 아래로 툭 ~~ 떨어진다. 짝짓기 하는 녀석들은 짝짓기 하는 상태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이 관찰됨. 2014. 4. 19.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콩과식물에서 많이 보인다. 칡에서도 보인다. 약충일때는 자기를 방어하기 위해 개미와 닮은 모습으로 의태한다. 어리면 어릴수록 더 개미 모습과 닮았다. 성충이 되어 날아 다닐때는 벌과 같은 소리를 내고 나는 모습도 뒷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쌍살벌과 많이 닮은 모습이다. 2014. 4. 9. 광대노린재 너 ~~! 정말 이쁘다 ♡ 2013. 12. 7. 말매미 2013. 9. 12. 중국갈색주둥이노린재의 사냥 2013. 8. 9. 노린재 노린재 무리는 한자로 반시류 라고 하는데 노린재의 앞날개가 앞쪽 반만 딱딱한 혁질이고 나머지 부분은 막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듬이 겹눈 옆모서리 앞가슴등판 작은방패판 막질부 2012. 3. 29. 뒷창참나무노린재 짝짓기 왼쪽 = 암컷 . 오른쪽 = 수컷 2011. 11. 3. 긴가위뿔노린재 앞 등의 양쪽은 붉은색이며, 암·수간 체형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다형현상을 가져 수컷의 배 끝에는 붉은색의 생식마디가 가위 모양으로 뒤까지 뻗쳐 있다. 가위모양이 보이질 않는걸 보니 암컷인듯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1. 6. 14. 노린재란? 잘 발달돼 주둥이로 즙을 빨아 먹는 곤충이다. 역삼각형으로 생긴 작은 방패판이 있다. 반초시 곤충이다. - 노린재류 곤충의 앞날개. 전반부는 딱딱하게 키틴화 되어 있고 후반부는 뒷날개와 같이 막상(膜狀)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노린내 냄새가 나기 때문에 유래되었다. 냄새.. 2011. 6. 2. 매미 비교 매미가 장마 전선의 소멸을 어떻게 알아낼지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몇년의 굼뱅이로 땅 속에서 지내다가 겨우 몇 주간 수액을 빨고 짝짓기를 해야 할 매미 입장에서는 간신히 화려한 지상 생활을 시작했는데 그게 우기와 겹치면 낭패가 아닐 수 없는 거다. 그래서 수십만 년 동안 .. 2011. 4. 12. 매미의 탄생 . 2009. 7.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