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379 기생당한 애벌레 2018. 6. 11. 사향제비나비 잎뒤면에 직접 알낳는 모습 관찰 며칠뒤 알 자란 상태 확인 - 알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없었다. 애벌레들이 자라면서 등칡 잎을 엄청 많이 먹은 모습도 보인다. 애벌레 일때는 오직 몸을 불리고 번데기가 되기위해 먹는 일에만 열중 ? 18.6.9. 4~5령정도 된 녀석들이 제법 보인다. 살짝 건드.. 2018. 6. 11. 소나무비단벌레 17.10.10 밀양대공원 박물관 뒷편 나무 계단에서 봉암수원지에서 나무구름 다리에서 16.12.08 2017. 10. 11. 줄녹색박각시나방 . 치자나무 17.09.29 대공원 에서 17.09.29 대공원 관찰 - 집에서 관찰 - 17.10.02 17.10.08 집에서 관찰 - 애벌레를 데리고 올때 한마리는 5령정도 한마리는 3령정도 앞번데기 되기 바로 전에 엄청나게 배설물을 몸밖으로 내보낸다. 번데기가 되게 번에 몸색깔이 갈색으로 점점 변한다. 치자나무에서 자꾸 땅으로 내려온다. 올려 놓아도 금방 다시 땅으로 내려온다. 땅속으로 들어 가기 위해서 색깔이 흙색깔과 비슷한 색깔로 위장을 하는듯 하다. 화분에 흙을 부드럽게 해서 그위에 올려 놓으니까 금방 땅속으로 파고 든다. 한마리가 먼저 들어가고 그다음날 한마리가 또 들어갔다. * 애벌레로 데리고 올때 한마리는 5령정도 한마리는 3령정도 번데기준비를 하는 시기는 하루사이 - 18. 03. 31 성충으로 우.. 2017. 10. 9. 명주잠자리 (개미지옥) - 2017. 9. 22. 청띠신선나비 - 청미래덩굴 2017. 9. 2. 도토리거위벌레 17.9.1.표충사 2017. 9. 2. 도토리거위벌레 2017. 9. 1. 동물의 배설물을 찾아온 나비 2017. 8. 31. 긴꼬리산누에나방 2017. 8. 24. 꽃술재주나방 2017. 8. 19. 무당알노린재 표충사 계곡 에서 ㅡ 칡 기주식물로 살아가는 무당알노린재 ,칡잎에 약충들이 바글바글 성충도 칡잎에 모여 있다. 2017. 8. 18. 줄박각시나방 애벌레 - 미전천 8.12. 2017. 8. 13. 칡줄기와애벌레 (갈고리재주나방?) 칡줄기와 흡사하여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알아차릴수가 없다. 2017. 8. 3. 매미의 우화 매미 우화 과정 탈피중 죽은 매미 2017. 7. 24. 주머니나방 관찰 2017. 6. 27. 크로바잎벌레 (잎벌레과) 17.06.26 밀양강 솔밭 징금다리 자갈밭에서 2017. 6. 26. 버드나무잎벌레 2017. 5. 13. 왕벼룩잎벌레 애벌레 왕벼룩잎벌레 애벌레 칡줄기에서 본 애벌레 - 애벌레일까? 칡줄기일까? 살짝 장난을 걸어본다. 나 애벌레야~~~!! ㅎ 귀잖아 건들지마~~~ 단풍나무잎을 먹고 자라는 곤충 참나무충영 안에 들어 있는 애벌레 2017. 5. 12. 큰남색잎벌레붙이 http://blog.daum.net/cosmos91/17437332 추화산성 등로길 - 아카시나무 팽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심지어 소나무에 까지 바글바글 하다. 큰남색잎벌레붙이 - 19.6.10.재약산 고산습지에서 19.6.12.위양지에서 발견됨 큰남색잎벌레붙이 2017. 4. 26. 사마귀 부화 2017. 3. 15. 흰점박이꽃무지 - 사육장에서 2017. 2. 15. 사마귀수시렁이 17.1.18. 관찰기록 17.1.23. 관찰기록 17.2.9. 관찰기록 사마귀 알집을 송두리째 감염시킴 2017. 2. 10. 등검은메뚜기 겹눈에 세로줄이 있었어 다른 메뚜기와 구별이 된다. 2016. 12. 4. 흰점박이꽃바구미 08.30 일 불모산에서 2016. 9. 20. 흰점박이꽃바구미 2016. 8. 29. 검은띠나무결재주나방 2016. 8. 18. 하늘소 2016. 8. 7. 도토리거위벌레 도토리가지를 잘라서 떨어뜨린 참나무 가지와 잎들 도토리거위벌레 알 2016. 7. 28. 날도래 2016. 7. 21.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