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379

큰주홍부전나비 & 작은주홍부전나비 ↓작은주홍부전나비 2015. 7. 12.
참나무재주나방 15.7.9. 남부산림자원연구소 17.8.29. 표충사 15.8.19. 표충사 15.8.19. 표충사 16.8.8. 17.8.3. 표충사 18.7.5. 우포늪 잠자리나라 야외습지 팽나무에서 발견 2015. 7. 10.
큰팽나무이 (충영) 매미목 큰팽나무이과 학명- Celtisapis japonica (Miyatake) 2015. 7. 9.
장미색들명나방 (들명나방아과) - 쪽동백잎을 돌돌말아서 그안에서 살고 있는 모습 - 15년 6월 30일 호박소 오천평바위 계곡 학명Pleuroptya harutai생물학적 분류과 : 포충나방과(Crambidae) 아과 : 들명나방아과(Pyraustinae)먹이식물쪽동백나무유충시기8~다음해 6월유충길이25mm우화시기6~7월날개길이32~38mm채집장소숲[네이버 지식백.. 2015. 6. 30.
작은호랑하늘소 2015. 6. 30.
장미색들명나방 - 쪽동백나무 잎사귀를 돌돌말아 그안에서 잎을 갉아 먹고 사는듯 -- 관찰한후 단단히 묶어 뒀는데 잘 살아갈수 있을지 ? 2015. 6. 30.
네눈박이송장벌레 2015. 6. 26.
기생얼룩나방 (나비목 밤나방과) 먹이로는 포도나무류 어디가 머리인지? 꼬리인지? 자세히 오래 들여다 보지 않으면 구분이 잘 안되요. 근데...자세히 오래 들여다 보고싶어도 애벌레는 좀 징그럽죠? ㅠㅠ (모모 선생님도 애벌레를 정말 징그러워하셔요.^^ ) 꼬리 부분을 머리처럼 위장을 하고 있는 겁니다. 천적이 꼬리가 .. 2015. 6. 25.
? 2015. 6. 25.
? ? 2015. 6. 25.
거품벌레 종류 ? 2015. 6. 25.
? 2015. 6. 25.
거품벌레 2015. 6. 24.
팔공산밑들이메뚜기 2015. 6. 24.
갈색여치 2015. 6. 23.
어리장수잠자리 우화 하는 모습 ㅡ 관찰일지 15.06월 05. 06 . 09 (3일간 관찰) 등쪽이 약간 벌어지기 시작한다. 1 - 1. 45분 등딱지 나오는 시간부터 17분 경과후 꼬리까지 빠짐 2 - 1시48분 윗몸 빼기 3 - 2. 02분 꼬리빼기 여기까지 17분 4 - 2시 06분 여기까지 21분 경과 5 - 2. 29분 몸속에 수분을 빼내기 시작 - 여기까지 45분경과 6 - 2. 53분 마지막으로 물이 떨어짐 몸속에 물이.. 2015. 6. 18.
어리장수잠자리 2015. 6. 10.
거미를 잡아가는 대모벌종류 15.06.06 단장숲에서 거미다리를 날카로운 이빨로 하나 하나 잘라내고 카메라 셔터소리에 놀랐는지? 다리한개는 달고 나무위로 올로간다. 시선이 한참을 따라갔는데 점점 높아져 관찰할수가 없었다. 별대모벌 = 거미를 사냥해 마취시킨뒤 그속에 알을 낳아 번식시킨다고 하면 이녀석은 왜 .. 2015. 6. 8.
풀색명주딱정벌레 / 검정명주딱정벌레 동정 포인트를 알수가 없다. 관찰해볼것 러시아 찌그로바야(호랑이 냇가)에서 ... 2015. 6. 2.
사시나무잎벌레 2015. 5. 26.
사시나무잎벌레 2015. 5. 25.
지네 (지네과) ㅡ 절지동물 절지동물 여러마디로 되어 있다. 마디마다 1쌍씩의 다리가 있어 전체 다리의 수는 15~170쌍이나 된다. 머리에는 1쌍의 더듬이가 있다. 몸통의 맨 끝 마디에는 독액을 분비하는 턱이 있다. 삼림의 낙엽이나 흙 속, 썩은 나무 · 돌 밑 등 축축한 곳에 살며, 육식성으로 곤충 · 지렁이를 주로 .. 2015. 5. 20.
꿀벌 꿀벌들은 서양민들레 혀꽃에 내려앉아 주둥이를 묻는다. 보송보송한 몸 털에 꽃가루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것을 보아 여러 꽃을 부지런히 돌아다닌듯 하다.뒷다리에 동그스럼한 노란색 꽃가루 경단이 붙어 있는것을 보아 노란색 꽃을 들락거렸나 보다 꿀벌은 노랜색에 잘 끌린다. 자외선.. 2015. 4. 5.
배추흰나비와 기생벌 암컷은 숫컷에 비해 날개기부에 검은 무늬가 많고 점도 크다. 배추흰나비 애벌레 먹이는 냉이 꽃 같은 십자화과 (겨자과) 식물이다. 십자화가 식물은 꽃잎이 4장이며 꽃잎이 열십자 +모양으로 달려 십자화과라 부른다. (냉이 무. 배추 케일 꽃다지 유채꽃 갓 ...) 짝짓기 준비가 된 암텃은 .. 2015. 4. 5.
동물? 조류? 배설물 반짝거리는 씨앗이 뭔지 궁금 하다.?? 2015. 3. 8.
꼽등이 꼽등이는 몸에 독을 가지고 있지 않아 사람들에게 해를 주지 않는다.주로 습한 곳을 좋아해 집안에서 보기는 쉽지 않다.꼽등이는 자주 연가시의 밥이 되기도 해 제 명에 살기 힘든다.습한 물가에서 식사를 할때 연가시 알을 같이 먹어 꼽등이 몸에 들어간 알은 시간이 지나면서 깨어나 애.. 2015. 3. 7.
사마귀붙이 ㅡ 풀잠자리과 사마귀붙이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다 . 끝검은사마귀붙이 , 새아사마귀붙이 , 애사마귀붙이 , 사마귀붙이 거미 알집에 알을 낳아 알에서 깬 애벌레들이 거미 알을 먹고 자라게 한다. 거미를 직접 사냥하지 않으면서도 떼로 죽게하는 무서운 천적이다. 또 맵시벌 쉬파리 ... 등도 같은 방법.. 2014. 11. 27.
제주노린재 참나무종류에서 관찰된다고....? 2014. 11. 19.
애벌레 모음 ↓칡 덩굴에서 발견된 애벌레 아직 밝혀지지 않는 종이라는데....? 칡덩굴색과 비슷한 색으로 위장을 하고 있는 모습. 2014. 10. 21.
잠자리 탈피각 2014.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