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379 잠자리가지나방 애벌레 자나방과 . 기주식물은 노박덩굴 성충이된 나방의 모습은 < 흰무늬왕불나방 >과 흡사한 모습이다. http://blog.daum.net/cosmos91/17435586 무학산 모니터링... 2012. 5. 13. 뒤흰띠알락나방 애벌레 ㅡ 나비목 알락나방과 유충은 4~5월경 까지 보인다. 번데기는 노린재나무 잎에 U 자형으로 접은후 그안에 고치를 튼다. 노린재나무 잎을 갉아먹고 사는 애벌레. 5월초 무학산 모니터링 길에 노린재나무 잎에 여러마리의 애벌레를 관찰할수 있었다. 2012. 5. 13. 노린재 노린재 무리는 한자로 반시류 라고 하는데 노린재의 앞날개가 앞쪽 반만 딱딱한 혁질이고 나머지 부분은 막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듬이 겹눈 옆모서리 앞가슴등판 작은방패판 막질부 2012. 3. 29. 뒷창참나무노린재 짝짓기 왼쪽 = 암컷 . 오른쪽 = 수컷 2011. 11. 3. 누구의 집일까? 2011. 9. 21. 꽃매미 약충의 빈 탈피각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사는 해충? 포도나무에 많은 피해를 입힌다는 농부의 방송 인터뷰를 본뒤라 이쁘보이진 않는다. 꽃매미의 천적은 바로! ‘꽃매미벼룩좀벌(가칭, 학명 Anastatus orientalis)’ 꽃매미벼룩좀벌은 꽃매미의 알에 기생해 꽃매미의 개체수를 감소시키는 .. 2011. 9. 16. 천성산에서 만난친구들 ↓왕물결나방애벌레 ㅡ 쥐똥나무 줄기에 줄기색으로 위장을 하고 붙어 있었습니다. 애벌레의 기주식물이 쥐똥나무라 쥐똥나방 이라고도 불려진답니다. 크기가 7~10 cm 정도는 되어보였습니다. 성충인 나방도 엄청 크다고 하는군요. 살짝 건뎌려 보았드니 톱날이 있는 4개의 뿔이 철사처럼 단단한 느낌.. 2011. 8. 18. 왕물결나방 애벌레 왕물결나방이라는 이름은 성충의 모습을 보고 붙인 이름이며, 또다른 이름은 쥐똥나방이라고도 한다. 기주식물(먹이식물)이 쥐똥나무라 붙혀진 이름이다. 어른벌레는 늦봄부터 8월까지 우화하며, 교미를 마친 암컷은 잎 뒷면에 한 개씩 알을 낳는다. 알 기간은 약 9일 정도이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 2011. 8. 14. 애기노랑나방외... ↓애기노랑나방 ↓달팽이 ↓대벌레 ↓민달팽이 ↓왕우렁이 알 ↓털매미 2011. 7. 29. 4 . 봉암수원지(팔용산) ㅡ 11 . 07 . 12 ↑천적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오물을 뒤집어 쓰고 살아간다. ↓붉은산꽃하늘소 ㅡ 더듬이가 톱날처럼 생긴것이 특징 이른 봄부터 볼수 있으나 7~8월경에 꽃에서 많이 볼수 잇다. ↓짝짓기중인 수컷의 투명한관처럼생긴 생식기가 보인다. ↓등얼룩풍뎅이 ㅡ . 2011. 7. 12. ? 2011. 7. 7. 대벌레 메뚜기목 대벌레류는 다리와 촉각을 재생할 수 있다. 몸 길이는 70∼100mm 정도 색깔은 담갈색, 흑갈색, 녹색, 황녹색 등으로 서식환경에 따라 변한다. 날개가 퇴화한 곤충으로 더듬이는 짧고, 암컷의 머리에는 1쌍의 가시가 있다.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몸과 다리를 뻗어 마치 `나뭇가지` 모양으로 변하.. 2011. 7. 7. 암끝검은표범나비 ↓앞번데기 상태 ↓ 애벌레 2011. 7. 7. ?나방 2011. 7. 6. ???이 2011. 7. 6. 수서곤충 이야기 계문강목과속정 하루살이 ㅡ 형태 = 머리부터 배끝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대부분 배부분에 양쪽에 털이 있는 모습이 있다. 꼬리는 보통 3개이다. 꼬리가 2개 = 부채하루살이류가 꼬리 2개가 많이 보인다. 긴부채하루살이 중부채하루살이....등 곤충관찰도감 참고 김정환 아가미호흡 - 육상.. 2011. 7. 5. 큰넓적송장벌레 죽은 동물이나 똥 , 썩은 과일에 잘모인다.지구의 자연 오물을 처리해주니 지구의 청소부라고 이름붙혀주고 싶다. 겨울에는 고목이나 땅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2011. 6. 22. 네발나비애벌레 2011. 6. 22. . 2011. 6. 22. 흰독나방 아까시나무 잎에 죽은듯이 붙어있었다. 이름은 뭐니...? 2011. 6. 21. ? 2011. 6. 21. 물잠자리 물잠자리 - 수컷. 암컷.- 날개끝에 흰점이 있다. 물잠자리 수컷 입술이 검은색 날개는 청록색이면서 보라빛이나고 가두리무늬가 없다 암컷 노란색 교미후 암컷은 홀로 수생식물의 줄기속에 산란하거나 온몸을 물속에 담그고 산란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구리광택이 나고 날개 끝부분.. 2011. 6. 20. ? 파리 2011. 6. 14. 고치벌 번데기 고치벌 번데기ㅡ 고치벌이 송충이애벌레에 알을 낳아서 애벌레를 먹고 자란다. 나무에 기생하는 애벌레속에 알을 낳아 그알이 애벌레를 영양분을 먹이로 삼아 살아간다. 나무의 애벌레를 감소시켜서 애벌레로 부터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수 있도록도움을 준다. 2011. 6. 14. 긴가위뿔노린재 앞 등의 양쪽은 붉은색이며, 암·수간 체형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다형현상을 가져 수컷의 배 끝에는 붉은색의 생식마디가 가위 모양으로 뒤까지 뻗쳐 있다. 가위모양이 보이질 않는걸 보니 암컷인듯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1. 6. 14. 큰주홍부전나비 ? 2011. 6. 14. 남색초원하늘소 나무줄기 풀줄기를 먹고산다. 망초식물 망초 줄기에 구멍을 내고 그안에서 겨울을 지낸다. 위에는 막아 놓는다. 2011. 6. 14. 유리산누에나방 고치 ↑한계암 가는길에서... 언제쯤 나올려나..? 천적에게 먹히지 말고 어른이 되었으면 좋겠는데... ↓ 3월초 벌써 나갔을까? 작년 집일까? 2011. 6. 14. 갈색여치 2011. 6. 14. 녹색박각시나방 2011. 6. 13.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