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고싶다.(여행지)494 구례 운조루 가는길에 운조루 누홍초 . 돼지감자 . 위성류 . 풍선덩굴 . 청개구리 . 2014. 10. 14. 하동송림 섬진강 모래벌 2014. 10. 14. 지리산 곤충번데기 2014. 10. 12. 순천만 -14.10.09 목 2014. 10. 11. 합천 황매산 개쑥부쟁이 - 잎에 결각이 보이지 않는다. 나도미꾸리낚시 미꾸리낚시 2014. 9. 30. 의령 구골나무 은목서 은목서 구골나무 은목서 구골나무 - 수령이 꽤 되어 보인다. 2014. 9. 30. 거제 갈곶리 ↓천선과나무 거제 우제봉에서 바라본 해금강의 풍경 인동초 열매. 동백나무 열매. 냄새명아주 . 마편초 . 주름조개풀 . 뽀리뱅이 . 까마귀쪽나무 . 개모시풀 . 비진도콩 . 수풀떠들썩팔랑나비 . 바위채송화 . 육박나무 . 천선과나무 . 산기장 . 2014. 8. 29. 경북 산림 연구원 서출지 지마왕릉 호랑나비 애벌레 - 지마왕릉 길목 탱자나무에서 경북산림연구원 ↑돼지감자 모습과 닮았으나 잎이 줄기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이름을 알수가 없었다. 뿌리도 수염뿌리에 가깝다. 왼쪽 = 물푸레나무 오른쪽= 들메나무 ↑??? ↑ 쉬나무 ↓세로티나벚나무 ↓송이 .. 2014. 7. 25. 밀양의 보호수 ( 保護樹 )와 노거수 ( 老巨樹 ) 보호수- 산림청 천연기념물 - 문화재청 보호수- 지정을 받으면 체계적인 관리 받을 수 있고 이는 산림보호법 제13조, 보호수 지정·관리 지침(산림청)에 의한다. 보호수 지정기준은 노목·거목·희귀목으로서 당산목·정자목·기형목 및 풍치등 보존 또는 증식가치가 있는 수목, 수령 100년 이상의 노목·거목· 희귀목으로서 고사 및 전설이 담긴 수목 또는 특별히 보호 또는 증식가치가 있는 수종을 말하고, 보호수 지정·해제는 도지사, 보호수 관리는 시장·군수가 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 문화재법 제2조. 제3항 동 법 제 6조에 의하여 학술상 가치가 있는 식물 가운데 문화재로써 보존하고 활용하여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인류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나무들을 지정보호하고 있다.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로 법적인 보호.. 2014. 6. 24. 오연정 올해도 살구나무를 보러가는날....떨어진 살구를 주어서 맛보고 , 주머니에 몇개 담고, 양손 가득 담아 온다. 예년에 비해 결실이 적은편이다. 2014. 6. 13. 우곡사의 사계 4/1 4/3 ↓피나무 4/4 4/ 4 /21 2014. 6. 9. 가인계곡 산복사나무 . 바구미 . 곰딸기 . 개미지옥 2014. 5. 20. 신광사 16.02.21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와룡리 신광사. - 전북유형문화재 제 113호 지정 성수산 (1059 m) 신라 흥덕왕때 무렵국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새빛이 되라고 신광사라 이름 지었다는 옛사람들의 설. 대웅전 지붕은 겹처마에 적한 돌조각을 붙인 너새지붕이며 ,명부전은 싸리나무 기둥이다. (싸리나무는 작은키활엽수 인데 굵어지기가 쉽지 않은데 장수읍에서 북쪽으로 싸리재라는 재가 있다. 느티나무 전나무 면전에다 단소리, 어리뻥, 선문답 , 고경 (옛거울) . 오래 눈대고 싶다. 꿈속에서 어려운 문제의 답을 얻으니 잠 아깝다 말라. 주위에가볼곳 - 논개사당 와룡자연휴양림 타루비 월고승마장 2014. 5. 4. 창녕 놋단이 가죽나무 . 고추나무. 담배풀 . 닥나무 덩굴별꽃 . 물푸레나무. 벌깨덩굴 . 병꽃나무 보리수나무 . 뻐꾹나리 . 선밀나물 . 애기똥풀 으름덩굴 . 거미 . 거위벌레 . 끝검은말매미 . 나방 . 큰허리노린재 . 대벌레 . 모시나비 . 벌 . 잎벌레 물방울 놀이 2014. 4. 30. 보현산 풍경 피나물 풀솜대와 나도바람꽃 동물의 배설물 .- 큰 동물인듯 하다. 피나물길 왜미나리아재비 군락지 우물 ↑큰꽃의아리와 곤충 ↑흰털괭이눈 ↓너도바람꽃 씨방 ↑ 노랑제비꽃 ↓ 들현호색 ↑현호색 ↓줄딸기 ↑ 박새 ↓ 달래 2014. 4. 22. 토함산 시부거리 2014. 4. 15. 대봉늪 -창녕14.04.14 애기자운 대봉늪 둑방길 애기자운 2014. 4. 14. 거제 휴양림 동식물 가막살나무 ↑개서어나무에서 식사중인 줄연두게거미 - 파리로 배를 채우고 있는중이다. 거제딸기 고로쇠나무 굴피나무 까치박달 나도밤나무 서어나무 나도개감채 애기중의무릇 천남성 올괴불나무 단풍취 금자라남생이잎벌레 개족도리풀 얼레지 잎사귀에 싸여 있는 애벌레 2014. 4. 9. 구례산수유 - 산동마을 광대나물 2014. 3. 25. 순매원 2014. 3. 13. 천태사에서 ↑제비꽃 - ?제비꽃 일까요? ↑고들빼기 ↑? ↑서향/천리향 ↑식나무 ↑일본목련 - 꽃눈에 털이 많이 없어서 일본목련으로 동정 해 봅니다. (백목련 꽃눈에는 털이 복실복실하게 많은 편) ↑회양목 ↑ 절간 공사중에 매화나무가 뿌리채 뽑여서 트럭에 실려 있습니다. 뿌리색이 줄기색과는 .. 2014. 3. 13. 만어사 ↑필요한 공간만 차지하고 잘자라고 있는 이나무는 무슨 얄궂은 운명이기에 이렇게 되었을까요? ↑물푸레나무 ↓? ↑ 개서어나무 . 서어나무 열매 보고 또 보고, 살피고 , 관찰해 보고, 담아 보고 , ... 놀아 봅니다. *^^* ↑담배풀 ↑ 황금측백 ↑주위에 다른 바위들에 비해 유난히 지의류가.. 2014. 3. 12. 메타쉐콰이아 2014. 3. 9. 밀양향교 - 석전대제 공자(孔子)에게 춘계(春季) 석전제(釋奠祭)를 지낸다. 향교 대성전에서 열린 석전대제는 초헌관으로는 시장님과 향교 문중 등 유림이 참석한 가운데 추대된 헌관들이 대성전 내 보안된 성현들에 대해 유교의 예에 따라 제사를 봉행하는 것으로 올해 춘계 제향 진행 과정 . 초헌관 - 대제를.. 2014. 3. 7. 밀양의 아름다운길 깊은곡선의 산길이 미지의 세계로 빨려 드는듯 하다. 2014. 3. 7. 딸기랑 놀기 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순창 친환경 딸기 *** 딸기밭 하우스 안에 알에서 나온지 얼마 안된듯한 어린 사마귀도 보인다. ↑ 구더기도 보인다. 크~~흐 .. 2014. 2. 24. 노거수 - 팽나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북면 들판 위양지 지나서 2014. 2. 24. 미륵산 야소골 자연물로 담벼락 장식한 모습에서 주인님의 고운 마음이 느껴져 온다. ^^ 오래보면 조금은 정신 없을것 같기는 하다.. ㅎㅎ 이런 모습은 어떤 현상일까? 보리장나무 ? 가 변이가 일어난 현상처럼 보인다. 거치가 보이는것이 처음 보는 모습이다. 등로길 삼거리에 자리하고 있는 소나무 ... .. 2014. 2. 15. 영남 알프스 아름다운길 2014. 2. 11. 한천 작업 현장 모습 밀양은 일교차가 큰데다 눈 . 비가 잦지 않아 한천 만들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지역이라 100 년 전부터 만들어온 자연 한천의 주산지라고 할수 있다. 3인 1조가 되어 작업하는 모습에서 호흡이 잘 맞아야될것 같다. 추수가 끝난뒤부터 다음해 2월경 까지 농한기에 한천을 만들기 때문에 .. 2014. 1. 30.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