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868

산매자(진달래과) 낙엽소관목 ,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연한 붉은빛으로 피고 꽃받침은 바소꼴로서 4개로 갈라지고 화관이 밖으로 말린다. 열매는 붉은 빛으로 익으며 먹을수 있다. 제주도 윗세오름 하산길에 왼쪽 2010. 8. 10.
담팔수(담팔수과) 담팔수 이름은 여덟잎중 하나는 항상 단풍이 든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 또 나뭇잎이 여덟가지 빛을 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고...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총상꽃차례는 잎이 떨어진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자잘한 흰색꽃이 아래로 보고 핀다. 수술은 20개이고 씨방에 길고 .. 2010. 8. 10.
? 2010. 8. 10.
먼나무(감탕나무과) 난대림속에 드물게 자라는 상록교목 2010. 8. 10.
후추등 / 바람등칡(후추과) 상록성 등굴나무 줄기와 잎은 민간에서 약용하고 열매는 향신료로 이용한다.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거나 담장에 걸쳐 자라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암수딴그루로 잎과 마주나는 수상꽃차례에 꽃잎이 없는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핀다. 열매는 이삭모양으로 달리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남쪽 섬에서 .. 2010. 8. 10.
개가시나무(참나무과) 제주도의 숲속에서 자란다. 거꾸로 된 피침형이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는 황갈색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이삭은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어린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몇개가 달린다. 열매는 도토리 깍정이 같고 겉면에는 6`7개의 동심원층이 있고 잔털.. 2010. 8. 10.
가새덜꿩나무(인동과) 덜꿩나무 잎에 비해 잎사귀가 작고 잎몸이 갈라진다. . 영실오름 초입에서 왼쪽편에.. 2010. 8. 9.
좀굴거리(대극과) 암수딴그루 잎겨드랑이의 총상꽃차례에 꽃잎이 없는 자잘한 꽃이 모여핀다. 굴 거 리 좀 굴 거 리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가 12~20cm 잎 길이가 10cm이하이고 잎 뒷면은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뒷면이 회갈색이고 측맥은 12~17쌍이고 잎맥사이의 거리는 10~15cm 잎맥 사이의 거리가 5~8mm in~1 = 무오법정사와 .. 2010. 8. 9.
육박나무(녹나무과) . 남쪽섬에서 자란다. 수피가 군복처럼 생겼다고 "해병대나무 "라고도 한다, 잎은 가지끝에 촘촘히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 잔털이 빽빽이 난다. 암수딴그루 열매는 둥글며 자루가 굵고 다음해 새꽃이 필때쯤 붉게 익는다. in~! = 열매달린 .. 2010. 8. 9.
조록나무(조록나무과) 잎이 두껍고 붉나무처럼 잎에 벌레혹이 조롱처럼 많이 붙어 있다. 꽃은 잡성화로 잎겨드랑이에 꽃잎 없이 붉은색 꽃받침을 가진 꽃이 촘촘이 모여핀다. . 2010. 8. 9.
푸조나무(느릅나무과) 잎앞면을 손으로 밀어보면 매우 거칠고 밀리지가 않고 까칠하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은 어린가지의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수술이 5개 암꽃은 어린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에에 1~2개씩 달린다.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으며 단맛이 나고 먹을수 있다. in~! = 까.. 2010. 8. 9.
모밀잣밤나무(참나무과) 통영 욕지도에 모밀잣밤나무 100 여그루가 숲으로 이루어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다고 한다. 종자로 번식한다. 건조를 싫어하고 해충의 피해가 심해 자연낙하한것은 1주일이내 주워 살충하였다 다음해 봄에 직파한다.(저온저장해도됨) . 2010. 8. 9.
구실잣밤나무(참나무과) 난대림을 대표하는 식물 상록교목 씨가 익으면 벌어지면서 씨가 드러난다. 2010. 8. 9.
산앵도나무 정금나무 . 모새나무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 - 산 중턱이상의 숲에서 자란다. 전년도 가지에 2~ 3개씩 꽃이 피며 색깔은 홍색이고 꽃의 크기는 정금나무 보다 크다 . 정금나무 - 낮은산 숲의 가장 자리에서 자란다. 새가지에 꽃이 10개 피며 색깔은 흑갈색이고 꽃의 크기는 산양도나무 보다 작다. 모새나무 - 꽃이 흰색에 .. 2010. 8. 9.
모새나무(진달래과) 잎은 어긋나고 두껍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다. 상록관목교목 열매는 먹을수 있고 약용으로 쓴다. 2010. 8. 9.
정금나무(진달래과) 잎은 어긋나고 양면 잎맥 위에 털이 있다. 어린가지 끝에 총상꽃차례에 붉은 빛이 도는 종모양의 꽃이 고개를 숙이고 모여서 핀다. 장과 열매는 붉은색에서 검은색으로 익으며 새콤달콤한 맛이 난다. in~! = 꽃모양은 고욤나무꽃이나 산앵도나무꽃 모양과 비슷하다 . . 2010. 8. 7.
분단나무(인동과) .제주도 울릉도에 자르는 낙엽관목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넓은 난형 , 원형이고 둔두 또는 급한 첨두이고 절저 또는 심장저이고 복거치가 있다. 흰색꽃이 4~5월에 핀다. 큰꽃은 무성화이며 작은 꽃만이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핵과 9~10월에 검게 익는다. in~! = 꽃이 백당나무 꽃과 비슷하다. ↓ 1100 고지.. 2010. 8. 7.
비자나무(주목과) . 2010. 8. 7.
왕모람(뽕나무과) . 줄기는 공기뿌리를 내어 다른물체에 달라붙는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다. 2010. 8. 7.
자금우(자금우과) ↑흑산도 ↓제주도에서.. . 잎을 만져보면 매끈하면서 도톰하다. 잎가장자리 거치가 날카롭다. 2010. 8. 7.
시로미(시로미과)ㅡ목본 뱀톱(석송과) ↓ 시로미 ㅡ 한라산과 백두산의 정상부근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기면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비스듬히 선다. 잎은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다. 암수딴그루이거나 잡성화로 잎겨드랑에 자주색의 작은 꽃이 4~5월에 핀다 둥근열매는 5mm내외이고 자흑.. 2010. 8. 7.
섬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잎이 거꾸로 된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가시가 크고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붉게 익는다. 2010. 8. 7.
좀갈매나무(갈매나무과) 가지끝이 가시로 변한다. 처음으로 이번 제주 탐사에서 만났다. 갈매나무보다는 잎이작고 ,열매도 작았다.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이라고 한다. . ☆↑ 윗세오름길에서 ☆↓영실내림길에서 2010. 8. 7.
참빗살나무(노박덩굴과) 2010. 8. 7.
검양옻나무(옻나무과) 열매가 동글납작하다. . 2010. 8. 7.
윤노리나무(장미과) 배나무 잎과 많이 비슷하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발달해 있는 점이 특징 가지가 곧고 바르게 자라므로 윷을 만드는데 좋다고 하여 윷노리나무라 부르던 것이 소리나는 대로 쓰이면서 윤노리나무가 되었다고 함 한자어로는 우비목(牛鼻木) 소코뚜레나무라 부르는데 소코뚜레를 만들기 .. 2010. 8. 7.
산딸나무(층층나무과) . ↑제주도 영실오름길에... +자 모양으로 띤 4장의 흰색 총포조각이 꽃잎처럼 보인다. 딸기 모양의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는데 단맛이 나며 먹을수가 있다. http://blog.daum.net/cosmos91/17435079 2010. 8. 7.
산개벚지나무 or 산개버찌나무(장미과) 꽃차례 밑부분 , 열매 밑부분에 잎처럼 생긴 포가 있다, . 2010. 8. 7.
아그배나무(장미과) . 2010. 8. 7.
두릅나무(두릅나무과) 15.3.31 밀양 . 7~9월에 가지끝에 산형꽃차례 , 꽃은 양성화이거나 수꽃이 섞여있으며 꽃잎 수술 암술은 모두5개이며 씨방은 하위이다. 꽃이 지고나면 10월에 핵과로 까만 열매가 열린다고 한다. 종자는 뒷면에 좁쌀 같은 돌기가 약간 있다고 한다.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 담에 실물확인을 꼭.. 2010.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