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6 왕산 . 필봉산 산행코스 == 산청나들목 ㅡ 덕양전 ㅡ 전구형왕릉 ㅡ유의태약수터 ㅡ 망경대 ㅡ 망바위 ㅡ 왕산표지석 ㅡ 왕산 ㅡ 필봉 ㅡ 안부 ㅡ 강구폭포 ㅡ 출령다리 ㅡ 생초 산행일자 = 08 . 05 . 25 산행초입 전구형왕릉 주차장 전구형왕릉 ㅡ 산청군 금서면 왕산 초입에 가야국의 마지막 왕이자 김유신의 증조부인 구형왕의 피라미드형 돌무덤이 여느왕들의 무덤과는 다른모습이다. 왕릉으로써는 국내 유일한 돌무덤이라고 한다. 이 왕릉에는 새들도 배설물을 흘리지 않고 뱀들도 지나지 않는다고 전해져온다. 용둥글레앞에 무릎을 꿇고 겸손히 친근하고 있을때 ................. ^^* 등로길은 겨우 헤치고 지나갈정도로 키를 훌쩍넘기는 짚은 녹음으로 덮혀있다. 전망대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잠시 휴식한다음 왕산 정상을 향.. 2008. 5. 31. 둥굴레 / 죽대 / 왕둥굴레 / 용둥굴레 /퉁둥굴레 <1> 둥굴레 <2> 죽대 둥굴레는 잎이 줄기를 감싸듯이 되어 잎자루가 없는데 비해 죽대는 짧게나마 잎자루가 있다. ......................... <3> 왕둥굴레 <4> 용둥굴레 ↓용둥굴레 (강원도 계방산 09 . 08 . 23) ↓퉁둥굴레 2008. 5. 31. 피나물 / 매미풀 / 동의나물 피나물 ㅡ 꽃줄기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 매미꽃ㅡ 꽃줄기가 뿌리에서 직접 나온다. 동의나물 ㅡ 꽃모양과 잎모양이 많이 다르다. ↓피나물 ↓매미꽃 ............................ 2008. 5. 30. 파나물(양귀비과) 2008. 5. 30. 물참대 금오산 약사암 ....................... 산청 왕산 . 필봉산 2008. 5. 30. 국수나무 2008. 5. 30. 단풍나무 2008. 5. 29. 곤달비 .......... 참나물 곰취와 곤달비 줄기에 홈이 파인것이 곤달비 2008. 5. 27. 산딸나무 2008. 5. 26. 때죽나무 새하얀꽃이 아래로 조롱조롱 달린 모습이 수줍은 소녀의 모습같기도 , 조신한 여인의 모습같기도 , 귀여운 어린아이의 발레복 같기도... 이쁨에 취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붙여본다. 2008. 5. 22. 골무꽃 / 꿀풀 2008. 5. 21. 불두화 2008. 5. 21. 매발톱 / 하늘매발톱 <1> 매발톱 <2>하늘매발톱 2008. 5. 21. 마삭줄 2008. 5. 21. 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콩과) - 사방용으로 도입해 식재된것이 야생화 한것이다. 질소 고정혹박테리아와 공생함으로써 척박한 땅에서도 잘 산다 줄기나 가지를 문질러 보면 족제비의 항문선에서 나는것 같은 고약한 냄새에서 유래한것이다. 겨울이 되면 그 냄새는 더욱 지독해진다. in - 족제비 항문.. 2008. 5. 21. 백선 2008. 5. 21. 마가렛 꽃말은 '사랑을 점친다, 진실한 사랑, 예언, 비밀을 밝힌다'이다. 2008. 5. 20. 벌개미취 2008. 5. 20. 벌노랑이 2008. 5. 20. 토끼풀 2008. 5. 20. 털개구리자리 2008. 5. 20. 장딸기 18.5.3. 춘복산 가는길 장딸기로 보인다. 2008. 5. 20. 노루발 2008. 5. 20. 둥글레 2008. 5. 20. 은난초 / 은대난초 은난초 ㅡ 잎이 4~6개, 꽃턱잎(포)은 꽃보다 짧다. 꽃모양은 곡선이며 은대난초보다 키가 작으며. 잎새는 퍼진다. 잎이 꽃보다 키가 올라가지않는다. 은대난초 ㅡ 잎이 6~8장 ,꽃턱잎은 꽃보다 길다. 꽃모양은 직선이며 키가 은난초보다 2배정도 크며 잎새는 45도정도로 치솟는다. 잎이 꽃보다 키가크게 .. 2008. 5. 19. 은대난초 2008. 5. 19. 은난초 2008. 5. 19. 땅비싸리 2008. 5. 19. 천남성 2008. 5. 19. 큰꽃으아리 2008. 5. 19.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