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나무626

홍가시나무 잎이 새로나오거나 단풍이 들때 붉은빛이 돌기때문에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2010. 9. 6.
?? 윤노리나무 ??윤노리나무 라고 앞에 접두어가 붙어있었는데.. 도통 생각이 나질 않으니 .. 2010. 9. 6.
↓헛개나무 ↓헛개나무 2010. 9. 2.
대팻집나무(감탕나무과) ↓대팻집나무 "단지 " 가 있는것을 관찰 포인트로 ... 2010. 9. 1.
↓구지뽕나무 ↓구지뽕나무 2010. 8. 31.
↓개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상림숲에서 10 . 08. 28 ↓문수산에서 11. 02 . 13 2010. 8. 31.
↓개오동나무 ↓개오동나무ㅡ 열매가 길쭉하게 고끈처럼 생겼어 노끈나무 라고도 함 개오동은 꽃 향기가 좋아 벌들을 불러 모으고 열매는 줄로 약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열매를 나뭇가지와 달여 먹으면 신장병에 ㅎ효과가 있다 나뭇가지가 하늘을 향해 있고 잎은 넓어서 개오동을 심으면 벼락을 피.. 2010. 8. 31.
찰피나무(피나무과)일까? 보리자나무 일까? 피나무종류에는 열매가지 기부에 긴타원형의 포가 달려있다. 프로펠라 역할을 해서 씨앗을 멀리 날려보내기위함이라고? 식물들의 번식세계도 신비로움이... (굴피나무 열매가 하늘로 보고 달려있는것도 바람이 세차게 불어야 씨앗이 멀리날아가 번식을 하기위함이라..) ↓찰피나무 오어사에서 보리.. 2010. 8. 12.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가지끝에 원추차례에 자잘한 노란색 꽃이 촘촘히 모여 핀다. 열매는 꽈리 모양을 닮았고 익으면 3개로 갈라지고 3개의 겸은 씨가 드러난다. 둥근 씨로 염주를 만들기도 하기에 "염주 나무" 라고도 한다. 사찰에 많이 심는다. 2010. 8. 12.
느티나무(느릅나무과) 2010. 8. 12.
불두화 불두화 2010. 8. 12.
설구화 모든꽃이 장식꽃이다,절에 많이 심는다. 2010. 8. 12.
계요등(꼭두서니과) 2010. 8. 12.
제주황기 (콩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나비모양이며. 꽃이 지고 나면 삭과 열매가 열린다. 한라산 중턱에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2010. 8. 10.
구상나무(소나무과) 잎 윗부분이 넓은 선형 이고 가지에 돌려가며 빽빽하게 달린다. 잎 끝이 오목하게 패고 뒷면에 흰색의 숨구멍줄이 2개가 있다. 열매 비늘 모양의 돌기는 뒤로 젖혀진다. . 천연향균물질(피톤치드)이 4.8 ㎖ 편백나무(일본수종)다음으로 많다. 함량표시 ㎖ 편백 구상나무 삼나무 전나무 화백 소나무 측백 .. 2010. 8. 10.
바위수국(범의귀과)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기어오른다. 가장자리의 장식꽃은 1개의 꽃받침조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흰색이다. 열매는 원추형이고 10개의 모가 있고 긑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2010. 8. 10.
호장근? 붉은호장근? 호장근 , 붉은호장근.? 어느것이 맞는건지 알수가 없다. 붉은호장근이라고 이름을 붙혀주는 이가 많은데.. 구별을 어떻게 하는지 정확히 아는이가 없다. 정확한 이름을 붙혀질때 까지 뒤로 미뤄둔다. 2010. 8. 10.
산매자(진달래과) 낙엽소관목 ,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연한 붉은빛으로 피고 꽃받침은 바소꼴로서 4개로 갈라지고 화관이 밖으로 말린다. 열매는 붉은 빛으로 익으며 먹을수 있다. 제주도 윗세오름 하산길에 왼쪽 2010. 8. 10.
담팔수(담팔수과) 담팔수 이름은 여덟잎중 하나는 항상 단풍이 든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 또 나뭇잎이 여덟가지 빛을 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고...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총상꽃차례는 잎이 떨어진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자잘한 흰색꽃이 아래로 보고 핀다. 수술은 20개이고 씨방에 길고 .. 2010. 8. 10.
? 2010. 8. 10.
먼나무(감탕나무과) 난대림속에 드물게 자라는 상록교목 2010. 8. 10.
후추등 / 바람등칡(후추과) 상록성 등굴나무 줄기와 잎은 민간에서 약용하고 열매는 향신료로 이용한다.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거나 담장에 걸쳐 자라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암수딴그루로 잎과 마주나는 수상꽃차례에 꽃잎이 없는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핀다. 열매는 이삭모양으로 달리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남쪽 섬에서 .. 2010. 8. 10.
개가시나무(참나무과) 제주도의 숲속에서 자란다. 거꾸로 된 피침형이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는 황갈색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이삭은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어린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몇개가 달린다. 열매는 도토리 깍정이 같고 겉면에는 6`7개의 동심원층이 있고 잔털.. 2010. 8. 10.
가새덜꿩나무(인동과) 덜꿩나무 잎에 비해 잎사귀가 작고 잎몸이 갈라진다. . 영실오름 초입에서 왼쪽편에.. 2010. 8. 9.
육박나무(녹나무과) . 남쪽섬에서 자란다. 수피가 군복처럼 생겼다고 "해병대나무 "라고도 한다, 잎은 가지끝에 촘촘히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 잔털이 빽빽이 난다. 암수딴그루 열매는 둥글며 자루가 굵고 다음해 새꽃이 필때쯤 붉게 익는다. in~! = 열매달린 .. 2010. 8. 9.
조록나무(조록나무과) 잎이 두껍고 붉나무처럼 잎에 벌레혹이 조롱처럼 많이 붙어 있다. 꽃은 잡성화로 잎겨드랑이에 꽃잎 없이 붉은색 꽃받침을 가진 꽃이 촘촘이 모여핀다. . 2010. 8. 9.
푸조나무(느릅나무과) 잎앞면을 손으로 밀어보면 매우 거칠고 밀리지가 않고 까칠하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은 어린가지의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수술이 5개 암꽃은 어린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에에 1~2개씩 달린다.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으며 단맛이 나고 먹을수 있다. in~! = 까.. 2010. 8. 9.
모밀잣밤나무(참나무과) 통영 욕지도에 모밀잣밤나무 100 여그루가 숲으로 이루어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다고 한다. 종자로 번식한다. 건조를 싫어하고 해충의 피해가 심해 자연낙하한것은 1주일이내 주워 살충하였다 다음해 봄에 직파한다.(저온저장해도됨) . 2010. 8. 9.
구실잣밤나무(참나무과) 난대림을 대표하는 식물 상록교목 씨가 익으면 벌어지면서 씨가 드러난다. 2010. 8. 9.
모새나무(진달래과) 잎은 어긋나고 두껍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다. 상록관목교목 열매는 먹을수 있고 약용으로 쓴다. 2010.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