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26

홍도탐사 ㅡ2011 .07 . 23 ~ 24 천연보호구역 해안선길이가 20.8 km 식물로는 545종정도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 목포에서 115 km 떨어진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배로 2시간30분 거리이다. 인구는 약 800명정도 섬을 형성하는 성분이 붉은색의 규암과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리와 절리가 절경이다. in ㅡ 그곳에 닿는수간 30년.. 2011. 7. 26.
모람 줄기는 공기뿌리를 내어 바위나 나무줄기에 달라 붙는다. 잎은 피침형이고 두꺼운 가죽질이다. 잎 뒷면은 그물처럼 튀어나온다. 열매는 검은자주색이다. 2011. 7. 26.
흑산도 ㅡ 2011 . 07 .24 ~ 25 ↓ ↓칠형제바위 ↓흑산도의 일출명소 2011. 7. 26.
갯방풍 2011. 7. 26.
기생초 북아메리카 원산지 외래종 2011. 7. 26.
날씨 . 비가 오면 인간과 동물에 관련된 것을 살펴보자. 다가오는 날씨 변화가 인간이나 동물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되어서, 이로부터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즉, 날씨 변화에 따라 인간이나 동물이 느끼는 것과 관련된 일기 속담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다음.. 2011. 7. 19.
흰복숭아 예로부터 귀신이나 뱀을 쫓아낸다고 집의 울타리 밑이나 장독대 밭 둘레에 심었다.실제 봉숭아에는 뱀이 싫어하는냄새가 나므로 뱀이 가까이 오지 않는다. 그래서 금사화 ( 禁蛇花) 라고 부르기도 한다. 손톱에 물들이던 풍습도 붉은빛을 귀신이 싫어하기 대문에 귀신이나 질병이 침범하.. 2011. 7. 19.
4 . 봉암수원지(팔용산) ㅡ 11 . 07 . 12 ↑천적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오물을 뒤집어 쓰고 살아간다. ↓붉은산꽃하늘소 ㅡ 더듬이가 톱날처럼 생긴것이 특징 이른 봄부터 볼수 있으나 7~8월경에 꽃에서 많이 볼수 잇다. ↓짝짓기중인 수컷의 투명한관처럼생긴 생식기가 보인다. ↓등얼룩풍뎅이 ㅡ . 2011. 7. 12.
? 2011. 7. 7.
갈참나무 2011. 7. 7.
대벌레 메뚜기목 대벌레류는 다리와 촉각을 재생할 수 있다. 몸 길이는 70∼100mm 정도 색깔은 담갈색, 흑갈색, 녹색, 황녹색 등으로 서식환경에 따라 변한다. 날개가 퇴화한 곤충으로 더듬이는 짧고, 암컷의 머리에는 1쌍의 가시가 있다.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몸과 다리를 뻗어 마치 `나뭇가지` 모양으로 변하.. 2011. 7. 7.
암끝검은표범나비 ↓앞번데기 상태 ↓ 애벌레 2011. 7. 7.
/ 2011. 7. 6.
?나방 2011. 7. 6.
마. 참마 (마과) 참마 ㅡ 테두리에 자주빛이 돈다. 마 ㅡ " 아무런 색이 없다. 산약이라고 뿌리로 이사를 하기에 오래산다. 여름철 잎이 싱그러울때는 잎이나 줄기로 영양분이 가기 때문에 뿌리를 캐보면 쭈글거리고 겁데기만 있는것 같다. 잎이 떨어지고 결실의 계절이 되면 잎과 줄기에 있던 자양분을 .. 2011. 7. 6.
???이 2011. 7. 6.
? 2011. 7. 6.
수서곤충 이야기 계문강목과속정 하루살이 ㅡ 형태 = 머리부터 배끝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대부분 배부분에 양쪽에 털이 있는 모습이 있다. 꼬리는 보통 3개이다. 꼬리가 2개 = 부채하루살이류가 꼬리 2개가 많이 보인다. 긴부채하루살이 중부채하루살이....등 곤충관찰도감 참고 김정환 아가미호흡 - 육상.. 2011. 7. 5.
수양벚나무 (능수벚나무, 실벚나무) 벚나무 종류와 잎이나 줄기의 모양은 매우 비슷하나 가지가 수양버들이나 능수버들처럼 길이로 길게 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개벚나무의 변종으로 본다. 2011. 7. 4.
? ↑아자방에서 ... 2011. 7. 4.
만어사 옛날 동해 용왕의 아들이 목숨이 다 한것을 알고 낙동강 건너에 있는 무척산의 신통한 스님을 찾아가 새로 살곳을 부탁드렸다고한다 스님께서는 가다가 멈추는곳이 인연이 있는곳이라하셨는데 , 왕자가 길을 떠나자 수많은 고기떼가 그이 뒤를 따랐는데 왕자가 머문곳이 바로 만어사 이.. 2011. 7. 3.
큰개별꽃. 개별꽃 . 쇠별꽃 . 별꽃 . 큰개별꽃 꽃잎끝이 뾰족하니 둥글다. 개별꽃 꽃잎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꽃잎끝이 홈이 파져있다) 인삼뿌리 처럼 생긴 덩이 줄기를 달고 있는데. 약으로 쓴다. 맛이 쓴맛이 나며 인삼맛과 비슷하다. 명나라 태자의 무덤에 이풀(개별꽃)이 양탄자처럼 널리 퍼져 자라고 있는것을 보고 태자삼 " 이라고 이름붙혔다는 설이 있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하루 5~15g 물로 달여서 3~4번정도 복용(건망증 불면증 입맛이없을때 입안이 마를때 가슴이 두근거릴때...등) 7월 하순경에 흙을 씻고 끊는 물에 3분정도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또 수염뿌리는 마르면 깨끗이 비벼 완전히 햇볕에 말린다.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열에 가하지 않고 햇볕에 말려도 된다. 뿌리에 사포닌 , 과당이 있다. ↑큰개별꽃 ↓개별꽃.. 2011. 7. 3.
닭의덩굴 2011. 7. 1.
DDT 곤충과 동물의 구별 곤충 ㅡ 다리가 6개이며, 몸통이 머리, 가슴, 배로 나뉘어져있다. (거미는 곤충이 아닌 절지동물이지요.) 등에는 벌이 아니고 파리.파리는 날개가 한쌍 , 벌은 날개가 두쌍 깔따구 ㅡ 물지는 않는다. 더듬이가 있다. 초파리ㅡ 사이클이 15일 장구벌레ㅡ 모기의 유충을 가.. 2011. 7. 1.
섬잣나무(소나무과) 바늘잎이 5장이며 새로나온잎은 부드러운편이었다. 2011. 7. 1.
쉬나무 (운향과) ↑오연정에셔... 중부이남의 마을 근처에 심는다.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 뒷면 잎맥겨드랑이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예전에는 까만 씨로 기름을 짜서 등불을 켜는 기름이나 머릿기름으로 사용했다. 제비나비가 보였는데 담질못했음. 2011. 7. 1.
오연정(鼇 淵 亭 ) 누마루(樓-) =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이다. 양반집의 사랑채에 주로 설치했는데, 보통 기본 평면에서 튀어나오게 한 뒤 그 밑에 기둥을 세운다. 또한, 대청이나 방보다 바닥면을 더 높게 해서 권위를 높였다. 집 안의 남자주인이 학문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고, 손님을 상대하던 장소로 이.. 2011. 6. 29.
밀양소경 잠시 비가 멈춘사이 짧은 나들이었지만 나름 괜찮은 풍경을 만나다. 2011. 6. 29.
살구나무 & 매실나무 (장미과) 원산지는 중국 과일나무나 관상용으로 수피는 적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짐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or 넓은 타원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함.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잎은 5장이고 꽃자루가 거의 없으며 꽃받침조각이 뒤로 젖혀진다.(매실나무 꽃은 안젖혀짐) 매실나무는 잎.. 2011. 6. 29.
마디풀 (부처꽃과) 2011.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