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6 고추나무(고추나무과) 잎은 마주나고 3출엽이며 잎은 고추잎을 닮았으며 봄에 나물로 먹는다. 탐사길에 본 특징은 잔가지가 양쪽으로 나있다. 2010. 3. 30. 다릅나무/개물푸레나무(콩과) 2010. 3. 30. 고로쇠나무(단풍나무과) ? 2010. 3. 30. 합다리(나도밤나무과) 2010. 3. 30. 붉나무(옻나무과) 잔가지는 황갈색이고 털이 없고 껍질눈이 많다. 겨울눈은 연한황갈색 털로 덮여있고 U자형이다. 암수딴그루 원추꽃차례 2010. 3. 30. 환삼덩굴 뱀에 물렸을때 환삼덩굴과 소주를 짖이긴뒤 상처부위에 발라주고 달인물로 목욕을 하면 각종 피부병에도 효과 2010. 3. 30. 천성산의 봄꽃 현호색 얼레지 중의무릇 흰괭이눈 큰괭이밥 피나물 꿩의바람꽃 얼레지 와 꿩의바람꽃 미치광이풀 너도바람꽃 보춘화 왜제비꽃 환삼덩굴 꿩의밥 2010. 3. 29. 오어사 원효암으로 가는 구름다리 원효대사가 계곡을 사이에 두고 자장암과 원효암을 지었는데, 구름으로 다리를 놓아 이 두 암자를 오고갔다 하여 구름 운(雲)자와 사다리 제(梯) 자를 써서 운제산(雲梯山)이라 이름을 붙혔다고 한다. 원효암 자장암 자장암에서 내려다본 오어지 자장암에서 보이는 오어사 .. 2010. 3. 22. 할미꽃 . 2010. 3. 18. 얼레지 . 2010. 3. 18. 노루귀 . 2010. 3. 18. 두릅나무 2010. 3. 18. 노각나무(차나무과) 목기(제기) 만드는 재료로 쓴다. 세계사람들이 공통으로 쓰는 학명에 'koreana'라는 지역이름이 들어간 순수 우리의 토종나무 2010. 3. 15. Eco Trekking 구골나무(물푸레나무과) 잎이 마주난다. 잎이 호랑가시나무(감탕나무과)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호랑가시나무잎은 어긋나기이다. 상수리나무 수피 개암나무 (자작나무과) 암꽃과 수꽃 , 암수한그루 (자웅동주) 산오리나무 생강나무 ㅡ 수꽃 암꽃은 보기가 어렵다 80% 20% 비율? 서어나무 (자작나무과) 소.. 2010. 3. 14. 설경 영남루 ㅡ 우리나라 3대누각중 보물 147호 . (진주ㅡ촉석루 . 평양 ㅡ 부벽루) 표충사 ㅡ 밀양8경중 한곳 천태사 ㅡ 삼랑진 천태산 원동 ㅡ 순매원 2010. 3. 10. 봄 토암도자기공원 --------------------- 고스락 봄비 내리는날 봄비같은 오랜친구들과 행복한 나들이 2010. 3. 8. 종남산탐사 ㅡ 노루귀* 할미꽃 ↓ 할미꽃 꼬마요정컵지의 수상지의 목이버섯? 노루귀 괴불주머니 솔이끼 2010. 3. 5. 꽃다지(겨자과) 긴타원형의 뿌리잎은 땅바닥에 방석처럼 퍼진다. 속에 있는 갈색 씨를 씹으면 매운맛이 난다. 이른봄에 뿌리잎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먹는다. 2010. 3. 4. 대관령 양떼목장 겨울의 끝자락에 하얀세상을 만나고픔을 가둬놓을수 없어 예정도 없이 떠난 그곳은 작은 아쉬움은 남았지만 충분히 아름다웠습니다. 2010. 3. 3. 망양정 ㅡ 울진 2010. 3. 3. 아카시나무 (콩과) 아까시나무 (콩과) 갈잎큰키나무.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공중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뿌리혹박테리아를 가지고 있는 콩과 식물로서 메마르고 토사가 흘러 내릴 정도로 황폐한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헐벗은 산에서도 살아 갈 수가 있다. 잘라 버려도 금새 싹이 나오는 강한 생명력.. 2010. 3. 2. 오리나무 2010. 3. 2. 영남루 야경 2010. 2. 26. 늪지 소경 2010. 2. 25. 버드나무과 ↑버드나무 - 삼락공원에서 버드나무 - 위양지에서 키버들 - 강원도 영월 동강에서. - 동강할미꽃 보러가는길 선버들 - 17.04.22 병산서원에서 김종원교수님 강의중 갯버들 - 17.04.22 경북 군위군 인각사 앞 학소대 계곡에서 - 김종원교수님 강의중 ↑왕버들 ↓능수버들 ㅡ 암수딴그루인데, 간.. 2010. 2. 24. 비단삼나무 상록수지만 묵은잎이 떨어질때는 작은가지째 떨어진다. 2010. 2. 22. 가이즈카향나무(나사백) . 향나무 . 눈향나무 . 섬향나무(측백나무과) 향나무의 변종으로 일본에서 들여온 원예종이다. 잎이 비늘잎이며 어릴때는 침엽이 나오기도 하지만 자라면서 비늘잎으로 된다. 가지가 나사모양으로 뒤틀려서 나사백 이라고도 한다. 작은가지가 예각으로 달리는것이 특징이다. (소지가 위로 치켜들어서 나는 모양) 일제강점기 때 일본.. 2010. 2. 22. 완도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와 자연교잡종으로 완도에서만 자생하는 가시나무 꽃은 산형화서로 황록색으로 피며 향기가 있고 열매는 겨울에 빨갛게 익으며 겨우내 달려 있다. 겨울 새들의 먹이로 이용되기도 한다 감탕나무 잎과 비슷한 모양이다. 2010. 2. 22. 2차 용담정계곡 ㅡ 구미산 왕대 사철나무 초피나무 ㅡ 잎에 선점이 있으며 가시가 마주난다 . 두릅나무 ㅡ 겹잎이 붙은 자리가 크다. 깃꼴겹잎인 나무는 대부분 엽흔이 큰편, 이대 ㅡ 화살 , 연살 . 등에 쓰임 푼지나무 ㅡ 잎자루가 붙은 곳의 양쪽에 고부라진 한 쌍의 가시가 있다. 탁엽이 가시로 변한 것이라 한다. 푼지는 줄기.. 2010. 2. 21. 대나무종류(벼과) * 벼과 식물은 마디마다 성장점이 있어 일년에 키가 많이 자란다.대나무 잔디 .... 우후죽순처럼 자란다는 말이 그런뜻을..... 오죽 ㅡ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왕대 ㅡ 마디가 2개 - 위에 마디가 크고 더 돌출되어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0. 2. 21.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