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6 두릅나무 7~9월에 가지끝에 산형꽃차례 , 꽃은 양성이거나 수꽃이 섞여있으며 꽃잎 수술 암술은 모두5개이며 씨방은 하위이다. 꽃이 지고나면 10월에 핵과로 까만 열매가 열린다고 한다. 종자는 뒷면에 좁쌀 같은 돌기가 약간 있다고 한다.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 담에 실물확인을 꼭 해봐야겠다.) 2007. 9. 13. 수까치깨 열매가 위로보고 있다. 까치깨는 열매가 아래로 보고 열린다고 하는데.. 아직 만나볼질 못해 숙제로 남겨둔다. 개화기:8~9 월 산이나 들에 나는 1년초. 잎은 호생,난형,끝이 뾰족하고 양 면에 별모양의 털이 있으며가장 자리에 둔한 톱니. 겨드랑이에 1송이 씩 달리며 꽃자루는 1.5~3cm, 2007. 9. 13. 수련 2007. 9. 13. 며느리배꼽 2007. 9. 13. 흰꽃여뀌 ............................................................................. 2007. 9. 13. 노랑어리연 2007. 9. 13. 공부중~ 개연꽃* 왜개연꽃 *자주달개비 * 해당화 기린초 ~ 굵은 뿌리에서 여러대의 줄기가 모여난다. 전체가 육질이며 잎이 달걀형 모양으로 통통하다 6~7월 자잘한노란색꽃이모여 전체적으로 커다란꽃을 만든다 작은열매는 익으면 붉은색을 띤다. 여러해살이풀로 봄에는 어린순은 삶아 나물로도 먹는다고한다. 붉은 참반디~깊은 산속그늘에서 자라.. 2007. 9. 12. [스크랩] 산형과 종류의 잎 산형과의 종류들의 잎 모양 **3출엽 참나물 : 3출엽 가는참나물 : 3출엽 신감채 : 3출엽 왜우산풀 : 2회 3출엽 기름나물 : 2회 3출엽, 다시 깃모양으로 갈라짐 참당귀 : 1~2회 3출엽, 3~5개로 거듭 갈라짐 왜당귀 : 1~3회 3출엽 지리강활 (개당귀) : 3~4회 3출엽 궁궁이 : 3~4회 3출엽 **우상복엽 개발나물 : 우상복엽 .. 2007. 9. 11. 풍접초 바람에 나비가 날으는 모습같다고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2007. 9. 7. 박주가리 2007. 9. 7. 물봉선 2007. 9. 7. 옹강산 산행초입 오진리 마을에선 큰굴통같은 시커먼 하우스에 여러가지 환경조건이 적합한 지역이라서인지 ? 온마을 전체가 표고버섯을 재배하고 있었다. 옹강산을 대표하는 말등바위, 중앙능선에 자리하고 있는 바위의 형상이 말등과 너무나 흡사하여 붙혀진 이름인듯하다. 하루 종일 가는비가 오락가락.. 2007. 9. 7. 이름으로찾기 산야초의 종류 산야초의 이름을 클릭하시면 이미지, 특징, 먹는방법, 효능, 민간요법등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가락지나물 가시연 가지 각지둥굴래 각시원추리 갈대 갈퀴나물 감국 감자 강활 개감수 개구리밥 개망초 개맨드라미 개미취 개별꽃 개쑥부쟁이 개연꽃 갯기름나물 갯.. 2007. 9. 3. 야개수련 (빅토리아수련) 어둠이오는 밤에 피기시작하여 아침 9시경쯤에 꽃이 오므라 든다고 한다. 어둠속에 피는꽃이라 야화라고 부르기도...흰색과 붉은색꽃이 있으며 5월~ 10월까지가 개화시기라고 한다. 2007. 8. 30. ? 비수리 2007. 8. 29. 물칸나 2007. 8. 29. 물양귀비 2007. 8. 29. 물채송화 2007. 8. 29. 백련 * 연밥 2007. 8. 29. 수련 2007. 8. 29. 비수리 (야관문)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난다 8~9월에 잎보다 짧은 흰꽃이 잎겨드랑이서 핀다. 예전에는 줄기를 광주리를 만들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식물전체를 야관문이라 한다. 약제로 쓰기도 ... * 아직 정확한 식별이 안되는 식물이다. 2007. 8. 29. 마름 * 생이가래 마름 ㅡ 잎이 마름모꼴 잎자루가 20Cm 정도 자라는데 가운데가 부풀어 있어 잎이 물위에 떠 있게 해준다. 꽃자루가 처음에는 위로 서 있다가 열매가 익어가면 밑으로 숙여져 열매는 물속에 있게 된다. 마름의 열매를 물에서 나는 밤이라 하여 " 물밤 " 이라고 부른다. 열매 성분이 녹말과 지.. 2007. 8. 28. 우포늪 꼭두새벽에 귀한님(가시연)을 만나기 위해 어둠이 가시지 않은 길을 떠났다. 부지런히 달리는 창가에 오늘도 어김없이 불볕더위를 예보하듯 여명이 붉은눈으로 강하게 빛을 발하고 있다. 잠시 갓길에서 해가 뜨면 꽃잎문을 닫을 달맞이꽃을 한장 급하게 담았다. ............. 사지포를 찾아가는길은 험.. 2007. 8. 28. 어리연 2007. 8. 27. 자라풀 2007. 8. 27. 가시연꽃 창녕 우포늪 사지포(沙地浦 : 모래벌) ..................................................................... 주남저수지 밤에는 오므라들고 낮에는 피어난다. 피는모습이 제일 이쁜시간은 아침해뜨기부터 정오까지라고 한다. 열매는 공모양이며 약으로도 쓴다고 한다. 뿌리는 토란처럼 삶아 먹는다고한다. 둥근잎은 꽃.. 2007. 8. 27. 유등지 경북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둘레는 약700 미터 깊이는 2 미터정도되는 연못이다. 정확한 이름은( 유호연화 ) 인데 그곳분들에게는 유등지라고 여쭤보는게 더쉽게 찾을수가 있다. 접근하기가 가까운 곳이라 매해 8월이면 찾던곳이었는데 올핸 어쩌다보니 조금은 늦게 들러게 되었다. 절정일때 허드러.. 2007. 8. 24. 백운산 연일 전국최고기온이라며 자랑스럽게 ? 매스컴을 타고있다. 폭염속 산행은 나에게 또 다른 의미라고 억지로 합리화 시켜본다. 최고기온에 나의 최고체력은 어디까지일까? 나자신 스스로 마루타가 되어보기로 했다. 산행 들머리부터 비오듯이 흘러내리는 땀을 손수건으로 적셔내긴 역부족이다.. 하산.. 2007. 8. 20. 흰송이풀 2007. 8. 15. 참취 2007. 8. 13. 이전 1 ··· 95 96 97 98 99 100 101 ··· 105 다음